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국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제품 포트폴리오 분석|힘스앤허스 서비스 라인업 총정리(2)

미국주식

by sunnyday1 2025. 4. 19. 00:31

본문

728x90
반응형

1. ‘제품 라인업’만 봐도 이 회사의 방향성이 보인다

요즘 미국 헬스케어 시장에서 ‘힘스앤허스(Hims & Hers Health)’처럼 빠르게 주목받는 기업도 드뭅니다.
하지만 단순히 매출 성장률이 높다고 해서 그 기업이 매력적인 투자처인 건 아니죠.
진짜 중요한 건 이 기업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 있고, 그 해결 방식이 얼마나 지속 가능하냐는 점이에요.

그 기준에서 보면, 힘스앤허스는 굉장히 잘 짜인 ‘구독형 건강관리 플랫폼’입니다.
이 회사가 어떤 제품군을 다루고 있는지 하나하나 뜯어보면, 이 회사가 어디서 매출을 만들고, 앞으로 어떤 분야에서 더 확장할 수 있는지 자연스럽게 보이기 시작해요.

힘스 앤 허스 제픔 라인업

 

2. 힘스앤허스의 서비스 카테고리는 이렇게 나뉩니다

현재 힘스앤허스가 다루고 있는 제품과 서비스는 단순히 약을 파는 수준이 아닙니다.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지만 쉽게 말하지 못하는 건강 문제”에 집중하고 있고, 그 문제들을 비대면으로 해결해주는 솔루션을 정기구독 방식으로 제공합니다.

아래는 현재 힘스앤허스가 제공 중인 주요 서비스입니다.

 

① 성 건강 (남성 중심)

●  다루는 문제: 발기부전, 조루

●   서비스 방식: 온라인 문진 → 비대면 처방 → 치료제 배송

●   대표 치료제: 실데나필(비아그라 성분), SSRI 계열 약물

●   구독료: 월 $3~24

이 분야는 사실상 힘스앤허스의 초기 성장 엔진이었습니다.
민감하지만 많은 남성들이 고민하는 문제에 접근했고, 병원을 찾기 어려운 소비자에게 익명성이라는 심리적 장벽 제거를 제공하면서 빠르게 시장을 장악했죠.

 

② 탈모 관리

●   주 타겟: 남성, 일부 여성 고객도 포함

●   제공 제품: 피나스테리드, 미녹시딜, DHT 차단 샴푸, 바이오틴 보충제 등

●   서비스 특징: 정기 배송 + 경과 모니터링 + 복합 처방 가능

●   구독료: 월 $15 이상

탈모는 단발성이 아닌 ‘지속적 관리’가 필요한 문제입니다.
이런 분야는 정기 구독 모델과 궁합이 정말 잘 맞죠.
힘스앤허스는 치료제뿐 아니라 샴푸나 보조제 등도 함께 패키지로 제공하면서 객단가를 높이는 전략을 택하고 있어요.

 

③ 피부과 치료

●   대표 질환: 여드름, 색소침착, 피부 트러블

●   서비스 방식: 온라인 진단 → 개인 맞춤형 스킨케어 루틴 제안

●   주요 제품: 트레티노인, 벤조일 퍼옥사이드, 클렌저, 토너 등

2021년, 힘스앤허스는 ‘Apostrophe’라는 피부 전문 스타트업을 인수합니다.
이로 인해 단순 화장품이 아닌 ‘처방 기반의 피부 치료 서비스’로 영역을 넓힐 수 있었고, 지금은 여드름 치료를 포함한 피부 문제를 ‘의료 기반 케어’로 포지셔닝하고 있어요.

힘스 앤 허스 스킨케어 라인업 Photo by Innerbody Research

 

④ 정신 건강 관리

●   상담 분야: 우울증, 불안장애, 스트레스, 불면증 등

●   서비스 방식: 원격 정신과 상담 + 필요시 약물 처방

●   이용 방식: 실시간 영상 또는 텍스트 상담 옵션 선택 가능

미국에서 정신 건강 문제는 특히 Z세대 사이에서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습니다.
힘스앤허스는 이 시장을 정면으로 공략하면서, 기존보다 부담 없는 가격대와 접근성으로 ‘심리상담의 대중화’를 시도하고 있어요.

 

⑤ 체중 관리 (Weight Management)

●   핵심 치료제: GLP-1 계열 (Ozempic, Wegovy 성분 기반)

●   서비스 시작: 2024년 5월

●   과정: 진단 → 혈액검사 → 처방 → 주사제 정기 배송

●   가격대: 월 $199 이상

체중 관리 서비스는 현재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카테고리입니다.
특히 ‘세마글루타이드’ 성분 기반 주사제는 미국 전역에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힘스앤허스도 이에 발맞춰 체중 감량 맞춤 프로그램을 빠르게 도입했어요. 이건 단순한 ‘다이어트 상품’이 아니라, 의료 기반의 체계적인 체중 관리 솔루션이라는 게 핵심입니다.

GLP-1 계열 주사제

 

⑥ 그 외 웰빙 제품군

●   예시 제품: 수면 보조제(멜라토닌), 여성 피임약, 호르몬 밸런싱 제품 등

●   특징: 정기 배송을 통한 생활습관 관리형 헬스케어

이 영역들은 각자 매출 비중은 크지 않지만, 기존 고객들에게 추가로 제공되면서 LTV(Life Time Value)를 확장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특히 성 건강이나 탈모 제품을 이용하던 고객이 다른 서비스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구조가 매우 중요하죠.


3. 이 포트폴리오의 강점은 ‘지속성’과 ‘연결성’

힘스앤허스가 선택한 제품군에는 공통점이 있어요.

●   반복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제품

●   건강하지만 드러내기 힘든 고민

●   병원에 가기 부담스러운 분야

젊은 세대가 불편해하는 진료 경험 대체

이 모든 조건이 정기 구독 모델과 아주 잘 맞습니다.
또한 각 제품군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교차 판매(cross-selling)가 자연스럽게 유도된다는 점도 강력한 전략이죠.

예를 들어, 탈모 치료제를 구독하던 고객이 여드름이나 수면 문제까지 함께 해결하고 싶어하는 건 자연스러운 흐름이니까요.


4. 결론 – 좋은 포트폴리오란 이런 것

‘제품이 많다’고 해서 좋은 건 아니에요.
하지만 힘스앤허스처럼 사용자의 행동, 감정, 지속성까지 고려한 제품 설계는 단순한 헬스케어 기업을 넘어 라이프스타일 헬스 브랜드로 진화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이 회사가 단기적인 유행을 넘어서, 진짜 ‘고객을 오래 붙잡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
이게 바로 투자자가 봐야 할 핵심이 아닐까요?

 

미국 원격의료 주식 유망주 분석|구독형 헬스케어 플랫폼 힘스앤허스(1)

 

미국 원격의료 주식 유망주 분석|구독형 헬스케어 플랫폼 힘스앤허스(1)

1. 병원 가기 싫은 사람들, 그 심리를 정확히 읽은 회사솔직히 말해서 병원 가기 싫은 날, 다들 있지 않나요?특히 ‘탈모’, ‘성기능 문제’, ‘여드름’, ‘조루’ 같은 민감한 건강 고민은 쉽

it-finance.tistory.com

미국 원격의료 시장 경쟁사 비교|힘스앤허스의 포지셔닝과 차별화 전략(3)

 

미국 원격의료 시장 경쟁사 비교|힘스앤허스의 포지셔닝과 차별화 전략(3)

1.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이제 시작일까?요즘 미국 주식 투자자들 사이에서 헬스케어 관련 기업들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특히 팬데믹 이후 원격의료,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수요가 폭발

it-finance.tistory.com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